<BFS (Breadth First Search), 너비 우선 탐색>
주어지는 그래프는 이차원 행렬 또는 딕셔너리 형태일 수 있다.그래프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코드를 제공한다. 노드간의 거리, 경로를 BFS를 통해 구한다. BFS / DFS의 기본 틀은 여러 문제에서 자주 사용된다. 익숙해지도록 외워야한다. 이번에는 input 그래프에따라 다른 BFS에 대해 코드를 보자. bfs는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하며 방문한 노드의 인접한 노드들을 Queue에 넣는다.또한 노드 방문형태로 인해 구할 수 있는 값이 있으니...A 노드로부터 B 노드까지의 거리를 알고 싶은 경우A 노드로부터 B 노드까지 가는 경로를 알고 싶은 경우첫번째 A 노드로부터 B 노드까지의 거리를 아는 방법같은 경우를 조금 활용하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작성에도 활용할 수 있다. (방문한 노드의 인접 노드들..
알고리즘/Team Notes
2025. 6. 9. 13:2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prefix
- Prefix Sum
- TimeComplexity
- dfs
- 소수
- 중복제거
- bfs_dfs
- 그래프알고리즘
- 라이브러리없이
- 코딩테스트
- BFS
- 시간복잡도
- 그리디
- 걸린시간
- 순열
- graph
- 투포인터
- 최적화
- 에라토스테네스의체
- 탐색
- 순코딩
- 소수판별
- GREEDY
- 누적합
- time()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복잡도
- 조합
- numpy
- 파이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